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jsp
- jdk 환경변수
- 환경변수 설정
- JAVA 설치
- Servlet
- java 자료형
- jstl
- dispatcher
- 이클립스 웹개발
- JSP 개발
- java 웹 개발
- 웹 개발
- Expression Language
- java 데이터 타입
- 자바 데이터 타입
- jsp 태그
- DispatcherServlet
- java 개발
- eclipse 설치
- java 환경변수
- java
- JDK 설치
- 데이터 타입
- JDK 1.8
- EL 태그
- java 변수 타입
- Eclipse IDE for Enterprise Java Developers
- Dispatcher-Servlet
- 이클립스 ee
- 자바 자료형
Archives
- Today
- Total
에비츄
[JSP] Servlet / Request & Response 본문
JSP 를 혼자서 배우며 가장 이해가 안갔던 것이 Servlet 이라는 것이었는데요.
저도 공부를 다시 한 번 복습하면서 이번 글을 올리게 되었어요.
그럼 서블릿이 도대체 무엇인지! 같이 알아볼까요?
1. Servlet
서블릿이란,
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,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
HttpServlet 클래스를 상속받아 구현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어요!
@WebServlet("/catlove")
위의 @WebServlet 안에 선언된 [project경로~~/catlove] 라고 URL을 요청하게 되면,
톰캣은 해당 어노테이션을 찾아서 실행하게 됩니다!
아래 코드에서와 같이,
HTTP 요청 메소드인 Get 방식과 Post 방식을 처리하기 위해 doGet() 과 doPost() 를 오버라이딩 해야 하구요!
매개변수로는 HttpServletRequest, HttpServletResponse 클래스를 정의해야 한답니다.
@WebServlet("/catlove")
public class catlove extends HttpServlet {
protected void doGet(HttpServletRequest request, HttpServletResponse response) throws ServletException, IOException {
PrintWriter out = response.getWriter();
out.println("<p>CAT LOVE</p>");
}
protected void doPost(HttpServletRequest request, HttpServletResponse response) throws ServletException, IOException {
doGet(request, response);
}
}
|
2. Request / Response
doGet() , doPost() 메소드는 HTTP 요청을 처리하는 메소드에요.
두 메소드는 HttpServletRequest, HttpServletResponse 클래스의 객체를 파라미터로 받게 됩니다.
(1) request 객체
클라이언트가 요청할 때 함께 전송한 데이터를 가짐
( URL 파라미터 / form 전송 데이터 등 )
(2) response 객체
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응답할 때 필요한 데이터를 가짐
( 응답 결과 코드 / 요청된 HTML 등 )
오늘은 간단히 서블릿에 대해서 알아보았어요!
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. ^ㅡ^ 감사합니다.
'Programming > J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SP] EL 태그 알아보기! (0) | 2020.05.08 |
---|---|
[JSP] JSTL 에 대해 알아보아요! (2) | 2020.05.04 |
Comments